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종이타월 줄이기 실천하기

by 그린 하루 2025. 6. 3.

부엌이나 욕실, 사무실, 심지어 식탁에서도 자주 쓰이는 종이타월. 편리하고 위생적인 이미지 덕분에 많은 분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품목이지만, 사실 종이타월은 사용 후 재활용이 어려운 대표적인 일회용품입니다. 저 역시 한때 종이타월을 하루에도 몇 장씩 무의식적으로 사용했었지만, 제로웨이스트 생활을 실천하며 그 사용량을 줄여본 경험을 바탕으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종이타월 줄이기 실천하기

종이타월, 정말 필요할까?

처음에는 “그래도 위생을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음식물 기름기, 손 닦기, 바닥 물기 제거 등 여러 용도로 종이타월은 굉장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사용 후 버려지는 그 수많은 종이타월은 거의 모두 재활용 불가 일반폐기물로 분류되며, 소각 또는 매립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게다가 한 장 한 장이 작아 보여도, 가정에서의 종이타월 연간 사용량은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 가정의 평균 종이타월 소비량은 연간 약 4.5kg 이상이며, 이는 성인 기준 나무 한 그루 분량의 펄프를 소비하는 양에 가깝다고 합니다.

 

종이타월 줄이기 실천 과정

1단계: 인식 변화부터

가장 먼저 한 일은 “내가 종이타월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 관찰해 보는 것이었습니다. 한 번 요리를 하고 나면 3~4장은 기본, 그 외에도 손 닦기, 싱크대 물기 제거, 간식 후 청소 등에서 종이타월을 거의 자동적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후 메모지를 부엌 벽에 붙여서 하루 동안 몇 장의 종이타월을 사용하는지 체크해 보았고, 평균 7~10장에 달하는 양에 놀랐습니다. 이렇게 ‘인식’하는 것만으로도, 필요하지 않은 사용을 의식적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2단계: 천 행주로 교체

다음으로 시작한 것은 천 행주 준비였습니다. 부드러운 면 소재와 삼베, 린넨 등 다양한 재질의 천 행주를 10장 정도 구입해 용도별로 나누어 사용했습니다.

  • 물기 닦기용
  • 기름기 전용
  • 바닥 청소 전용
  • 손 닦기용 작은 수건

각 행주는 사용 후 바로 세척하여 햇빛에 말렸고, 1~2일에 한 번씩 세탁기에 돌려 위생을 유지했습니다. 사용 초기에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점차 패턴이 익숙해지면서 종이타월의 자리를 자연스럽게 대체하게 되었습니다.

3단계: 천과 물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경험

놀라운 사실은 종이타월 없이도 청결과 위생 관리가 충분히 가능했다는 점입니다. 행주에 따뜻한 물과 식초 또는 베이킹소다를 소량 섞어 닦기만 해도 얼룩 제거와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가장 좋은 점은 매번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도 된다는 해방감이었습니다. 기름기 많은 조리 후에도 ‘한 장만 더, 또 한 장만 더’ 하며 종이타월을 쓰는 습관이 사라졌고, 그만큼 가정의 쓰레기 양도 줄고, 비용도 절약되었습니다.

 

종이타월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아이템 추천

  • 삼베나 리넨 수건: 통기성과 항균력이 좋고 기름기 제거에 효과적
  • 다회용 마이크로화이버 천: 먼지 제거에 탁월, 청소용으로 유용
  • 작은 손수건: 손 닦기 전용으로 분리 사용 시 위생 유지 가능
  • 키친타월용 롤 형태의 천: 종이타월처럼 롤형으로 뽑아 쓰는 천 제품

이러한 대체품은 초기 비용은 다소 있으나, 1~2개월만 사용해도 본전을 회수할 수 있으며, 세탁 후 수년간 재사용 가능합니다.

 

실천 후 변화와 느낀 점

종이타월 사용을 줄인 이후로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가 생겼습니다:

  • 가정 내 쓰레기 감소: 음식물 쓰레기 외에 일반 쓰레기가 확연히 줄어듦
  • 청소 습관 개선: 한 번 더 닦고 마무리하는 정리 루틴 정착
  • 지출 절감: 매달 종이타월 구매 비용 약 7천~1만 원 절감
  • 환경에 대한 자각 증가: 일상적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인식

물론 손님 접대나 기름 많은 조리 시에는 종이타월을 아주 가끔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빈도는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줄어들었고, 이제는 '없으면 불편할까?'가 아닌, '있으면 덜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우선입니다.

 

가장 쉬운 제로웨이스트 실천, 종이타월 줄이기

제로웨이스트 실천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루에 쓰는 종이타월 한 장을 줄이는 것부터도 충분한 시작이 됩니다. 무언가를 덜 쓰는 실천은 생활의 여백을 만들고, 내가 진짜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오늘부터라도 식탁 옆에 작은 손수건 하나를 준비해 보세요. 그리고 사용한 후 세척하고 말리는 과정을 통해, 환경과 나를 동시에 아끼는 즐거움을 느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