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크 초콜릿은 다 비건일까? 구분법과 성분 체크팁

by 그린 하루 2025. 4. 22.

비건 식단을 따르거나 유제품을 피하려는 사람이라면 “다크 초콜릿은 비건일까?”라는 질문을 한 번쯤 해봤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다크 초콜릿은 밀크 초콜릿보다 우유 성분이 덜 들어가 비건에 적합하다고 여겨지지만, 사실 그렇지 않은 제품도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크 초콜릿이 모두 비건이 아닌 이유와 함께, 제품 선택 시 성분 확인법, 주의할 성분, 그리고 믿고 먹을 수 있는 비건 인증 초콜릿 브랜드까지 정리해드립니다.

다크초콜릿

다크 초콜릿 = 비건?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크 초콜릿’이라는 단어는 초콜릿의 카카오 함량이 높고, 일반적으로 우유가 들어가지 않았다는 인식을 줍니다. 그러나 현실은 조금 다릅니다. 일부 다크 초콜릿에는 유청(Whey), 탈지분유(Skim Milk Powder), 카제인(Casein) 등 유제품 성분이 소량 포함되어 있거나, 우유를 사용하는 제조 라인에서 생산되어 ‘우유가 함유되었을 수 있음’이라는 주의 문구가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50~70% 정도의 카카오 함량을 가진 제품에서는 맛과 식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유제품 성분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80% 이상의 고카카오 제품일수록 비건일 가능성이 높지만, 성분표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다크 초콜릿은 비건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의 포장지에 있는 성분표와 제조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비건 초콜릿을 고르는 성분 체크팁

다크 초콜릿의 성분표를 확인할 때 주의 깊게 봐야 할 항목들이 있습니다. 아래는 비건 여부를 가를 수 있는 주요 성분들입니다.

 

비건에게 허용되는 기본 성분

  • 카카오매스 (Cocoa Mass 또는 Cacao Mass)
  • 카카오버터 (Cocoa Butter)
  • 설탕 또는 코코넛 슈가, 자일리톨 등 천연 감미료
  • 바닐라, 해바라기 레시틴(Emulsifier)

비건이 피해야 할 성분

  • 우유 또는 밀크(Milk)
  • 유청(Whey)
  • 카제인(Casein)
  • 유당(Lactose)
  • 버터오일(Butterfat), 크림(Cream)

주의 문구 확인: “may contain milk”, “우유 성분이 함유되었을 수 있음”이라는 문구는 우유를 사용하는 시설에서 함께 제조된 경우로, 엄격한 비건이라면 피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알레르기 유발 주의 목적의 표기일 뿐, 실질적인 성분 함유는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판단은 개인의 기준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제품은 비건 인증 마크(Vegan Certified)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빠르게 구분하고 싶다면 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믿고 먹을 수 있는 비건 다크 초콜릿 브랜드

현재 시중에는 다양한 비건 초콜릿 브랜드가 있으며, 이들은 명확한 성분 공개와 함께 비건 인증을 받아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브랜드 몇 가지입니다.

 

1) 라라바 (LÄRABAR) 라라바의 초콜릿 관련 제품은 대부분 식물성 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루텐프리 및 비건 인증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데이트(대추야자), 너트, 코코아 파우더 등을 사용해 자연적인 단맛과 풍미를 자랑합니다.

 

2) 후 초콜릿 (HU Chocolate) 미국 브랜드로, “No Dairy, No Refined Sugar, No Emulsifiers”를 표방하는 클린 라벨 초콜릿입니다. 코코넛 슈가와 카카오매스를 기반으로 해 깊은 풍미를 가지며, 다양한 맛으로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3) 그린 앤 블랙스 유기농 85% 이 브랜드의 85% 다크 초콜릿은 대부분 비건이 먹을 수 있으며, 유기농 인증도 받아 신뢰도가 높습니다. 단, 제품에 따라 우유 성분이 포함된 경우도 있으므로 성분표는 필수 확인이 필요합니다.

 

4) 빈투바 초콜릿 (Bean to Bar) 수제 초콜릿 브랜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 단순한 성분과 투명한 생산 과정을 통해 비건 옵션이 많은 편입니다. 한국에서도 로컬 빈투바 브랜드들이 비건 다크 초콜릿을 제작 중이니 찾아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5) 알터에코 (Alter Eco) 페어트레이드와 유기농, 비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브랜드로, 진한 카카오 풍미를 즐기고자 하는 비건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페루산 카카오를 주로 사용하며, 환경에도 친화적인 패키지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포장 뒤 성분표가 진짜 정답

다크 초콜릿은 모두 비건이라는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고카카오 함량 제품일수록 비건일 확률은 높지만, 유청, 우유 분말, 크림 등의 유제품이 소량 포함된 제품도 많기 때문입니다. 결국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성분표 확인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비건 인증 마크가 있는 제품을 선택하거나, 최소한 우유 성분이 없는지를 꼼꼼히 체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오늘부터는 다크 초콜릿을 고를 때 포장지 뒷면을 한 번 더 들여다보세요. 맛과 건강, 가치 있는 소비를 동시에 지키는 똑똑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